본문 바로가기
사회과학

사회학 Sociology

by 1RM 2023. 2. 12.
반응형

사회학은 사람들이 어떻게 살며, 왜 그렇게 사는지에 대해 사회와 연관 지어서 설명하는 학문이다. 사회학에서는 다양한 사회 연구 기법을 사용하여 조사하고 그 결과에 대해 분석한다. 사회학은 이러한 의미에서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 다뤄진다. 사회학의 목표는 인간 사회를 연구하고 미시사회학인 부분에서부터 거시적인 단계까지 사회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다. 사회학은 방법론이나 연구 주제 면에서 매우 광범위한 학문이다. 전통적으로 사회학은 양적 연구 방법을 통해 계급과 같은 사회 계층, 종교, 문화, 근대성 등을 연구했다. 근래에 들어서 사회학의 연구 분야는 각종 사회 제도와 인터넷과 같은 새로운 사회, 과학 지식과 같은 지식 분야까지 확장되고 있다. 연구 분야의 범위가 넓은 만큼 연구의 기법 역시 다양하여 언어적, 문화적, 이해사회학 철학적 방법 등이 연구에 사용되고 있다. 사회학이 어떤  학문이다라고 말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을 대상으로 하며, 이 대상을 어떠한 방법으로 연구하는지에 대해서 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사회학은 인간과 사회 둘 사이에 관련을 중심으로 하여 사회적인 공동생활을 이법으로 밝히는 학문이라 할 수 있다. 우리들의 사회적인 공동생활을 살펴보면 경제, 법, 정치, 교육, 종교, 예술 등 여러 가지 영역이 있고, 이들 영역을 통해 다양한 집단이나 제도가 서로 관련되고 있으며, 이런 집단이나 제도는 인간의 행위가 지탱되면서 변동한다. 사회학의 관점은 처음부터 사회생활 전반에 걸친 생활의 공동에 있으므로, 여러 사회과학 안에서도 특이한 위치를 차지한다. 사회학의 기본적인 문제는 사회와 개인의 문제이다. 이 점에 관해서는 서로 다른 견해가 있었다. 하나는 사회명목론의 입장이고 다른 하나는 사회실재론의 입장이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이 두 가지 입장이 모두 극복된 듯하다. 개인의 실재는 부정할 수 없는 일이나, 그 개인 자체는 사회적으로 형성된 인격을 가지고 집단생활을 하는 사회적 인간이며, 제약하는 있는 사회를 역사적으로 바꾸어 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사회학 연구의 시작은 구체적으로 인간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분석이다. 두 번째는 집단 연구이다. 인간의 사회적인 공동생활은 사실 여러 가지 집단의 구성원의 행동이다. 여러 집단에 대한 유형에 따른 분석뿐만 아니라 집단과 집단 사이의 관련도 밝혀내려 한다. 세 번째는 사회의 문학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이다. 사회학은 이상관 같은 내용을 실증적으로 연구하려고 한다. 실증적 연구는 초창기 이래의 사회학의 전통이다. 바야흐로 사회학은 관리사회 또는 정보화 사회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끊임없이 발단하는 도시에서 인간이 스스로 필요한 정보를 얻고 이에 기반하여 판단할 수 있는 사회이거나, 기구의 톱니바퀴처럼 되어가는 사회이며, 많은 양의 정보가 쏟아져 나와 모이며 처리되는 사회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인간다운 생활을 어떻게 제대로 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는 현대인에게 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현대의 사회생활에 대한 과학적인 식견을 넓히고 올바른 진단을 바탕으로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인데, 이 경우에 사회학적 사물 관찰이나 대처방식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반응형

'사회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 Psychology(2)  (0) 2023.02.25
심리학 Psychology(1)  (0) 2023.02.19
경제학 Economics  (0) 2023.02.15
사회과학(2)  (0) 2023.02.09
사회과학(1)  (0) 2023.02.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