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과학

사회과학(2)

by 1RM 2023. 2. 9.
반응형

사회학은 인간 사회와 인간의 사회적 행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사회학의 창시자이자 프랑스의 대표적 지식인 오귀스트 콩트는 인간 사회도 자연 세계처럼 과학적 방법으로 연구될 수 있다고 보고, 인간 사회를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새로운 과학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사회학은 사회행동을 앞세워 동적 의미를 강조하고 그런 사회 구조속에서 질서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양면성을 가진 개념이다. 보편적인 입장에서 본 사회학은 사회제도 속에서의 사회의 제도, 집단과 집합, 조직 그리고 그 제도나 조직의 변화에 관한 인과관계를 탐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오귀스트 콩트의 후계자로 널리 알려진 에밀 뒤르켐은 자신의 저서에서 사회학이 좀 더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과학이 되기 위해서는 연구 대상을 'social fact'로 설정하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가 사회학 연구 대상으로 지목한 사회적 사실이란 '고정된 것이든 그렇지 않은 것이든 개인에 대하여 외적 구속력을 행하는 모든 형태의 행위 양식'을 가리킨다. 사회는 단순히 개인의 집합이라는 개체주의적 접근을 비판하고, 인간 사회를 비과학적인 태도를 거부하며, 사회의 변동과 질서에 대하여 이론적 관심을 보인 것이 사회학의 지적 전통이었다. 사회학에서는 다양한 사회 연구 기법을 사용하여 경험적인 조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다. 사회학은 이러한 의미에서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서 다루어진다. 사회학의 목표는 인간 사회를 연구하여 미시적인 부분에서 거시적인 부분에 이르기까지 사회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다.
경제학이란 재화와 용역의 생산과 분배, 지출에 관한 전반적인 경제 현상을 분석하고 연구하는 학문이다. 경제학의 목표는 복잡한 경제 활동에서 특정한 규칙성을 발견하여 경제 현상의 원인과 결과를 연구하고 예측하는 것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제학자들은 세계의 경제 상태, 개인과 기업이 고용, 투자, 소비 등을 어떻게 결정할지 연구한다. 또한 경기의 호황과 침체, 개인과 국가 간에 나타나는 부의 불균형과 같은 것들도 경제학의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경제학은 경제적 가치가 있는 대상이 드물고 이를 선택할 때는 기회비용이 발생한다는 것을 기본적으로 전제한다. 개인, 기업, 국가와 같은 경제 주체들은 시장에 참가하여 수요와 공급을 창출하고, 그 과정에서 최대한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가려고 한다. 따라서 경제 활동은 각 경제 주체가 가장 합리적인 선택을 하려는 경향을 보이게 되고 이러면서 일정한 규칙이 성립되게 된다. 경제학은 이러한 경제 활동의 규칙을 찾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한다. 경제학은 현재 상황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규명하는 가치판단에 따라 경제 활동을 평가하는 규범경제학으로 나뉠 수 있다. 경제학은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반응형

'사회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 Psychology(2)  (0) 2023.02.25
심리학 Psychology(1)  (0) 2023.02.19
경제학 Economics  (0) 2023.02.15
사회학 Sociology  (0) 2023.02.12
사회과학(1)  (0) 2023.02.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