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48

사회과학(2) 사회학은 인간 사회와 인간의 사회적 행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사회학의 창시자이자 프랑스의 대표적 지식인 오귀스트 콩트는 인간 사회도 자연 세계처럼 과학적 방법으로 연구될 수 있다고 보고, 인간 사회를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새로운 과학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사회학은 사회행동을 앞세워 동적 의미를 강조하고 그런 사회 구조속에서 질서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양면성을 가진 개념이다. 보편적인 입장에서 본 사회학은 사회제도 속에서의 사회의 제도, 집단과 집합, 조직 그리고 그 제도나 조직의 변화에 관한 인과관계를 탐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오귀스트 콩트의 후계자로 널리 알려진 에밀 뒤르켐은 자신의 저서에서 사회학이 좀 더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과학이 되기 위해서는 연구 대상을 'social fact'로 설정하여야 .. 2023. 2. 9.
사회과학(1) 사회과학은 인간의 활동과 이러한 활동들이 모여 만들어지는 사회의 작동 양상, 그리고 그것들의 "변화"에 대해 연구하는 과학이다. 즉,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사회 현상과 인간의 사회적 행동을 탐구하는 과학이다. 사회과학은 자연과학의 발전에 영향을 받아 발전한 을 사용하여 사회현상을 연구한다. 과학적 방법이란 경험과 측정을 근거한 증거를 사용하여 현상의 원리를 밝히는 과정이다. 따라서 사회과학 역시 자연과학과 같이 경험적 지식체계를 구축하는 경험과학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자연과학과의 차이점은 첫째, 보편성 외에 가치판단과 특수성이 개입된다. 둘째, 실증 외에 직관적 통찰에 따라 가치 내재적 해석이 있다. 셋째, 탐구의 대상이 자연현상이 아닌, 인간 사회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사회과학은 .. 2023. 2. 7.
카를 마르크스 카를 마르크스는 프로이센 출신의 철학자, 역사학자, 사회학자, 경제학자, 언론인이다. 그는 역사학, 경제학, 정치학, 철학, 문화인류학 등 많은 학문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현대까지 많이 인용되는 학자이다.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상가로 꼽히기도 하였으며, 공산주의를 정립한 인물이다. 마르크스의 사회경제정치이론을 집합적으로 마르크스주의라 한다. 마르크스주의에서는 인간사회가 계급투쟁을 통해 진보한다는 관점을 가지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그 계급투쟁은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 사이의 투쟁을 나타낸다. 지배계급인 부르주아와 피지배계급인 프롤레타리아를 나누는 기준은 생산수단을 통제할 수 있냐 없느냐에 나타난다. 생산수단은 부르주아에 의해 통제되며, 프롤레타리아는 자신의 노동력을 부르주아에게 판매하.. 2023. 2. 6.
파시즘 파시즘(fascism)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의 철학자 조반니 젠틸레가 파시즘의 기초 이론을 세웠다. 이 시기에 파시즘이 일어난 나라를 보면, 근대국가의 형성이 늦게 시작되거나 경제적으로 급격히 자본주의가 이루어져 사회제도가 이질적이며, 특히 농업 부분에 있어서 봉건적 제도가 뿌리 깊게 남아있고 민족주의 전통과 경험이 얕은 나라들 또는 자본주의 발전이 현저히 떨어지는 나라 등이었다. 파시즘 발생의 기본 요인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자본주의 세계에서의 관성적 공황과 사회혁명의 진전에서 볼 수 있다. 경제학에서는 이 시기의 대공항이 유럽의 파시즘을 생겨나는 데 영향을 주었다고 본다. 경제 및 정치의 불안, 부패에 대한 도시민이나 농민의 절망감, 강력한 권위적 리더십을 대망하게 되어 파시즘 발생의.. 2023. 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