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

카를 마르크스

by 1RM 2023. 2. 6.
반응형

카를 마르크스는 프로이센 출신의 철학자, 역사학자, 사회학자, 경제학자, 언론인이다. 그는 역사학, 경제학, 정치학, 철학, 문화인류학 등 많은 학문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현대까지 많이 인용되는 학자이다.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상가로 꼽히기도 하였으며, 공산주의를 정립한 인물이다. 마르크스의 사회경제정치이론을 집합적으로 마르크스주의라 한다. 마르크스주의에서는 인간사회가 계급투쟁을 통해 진보한다는 관점을 가지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그 계급투쟁은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 사이의 투쟁을 나타낸다. 지배계급인 부르주아와 피지배계급인 프롤레타리아를 나누는 기준은 생산수단을 통제할 수 있냐 없느냐에 나타난다. 생산수단은 부르주아에 의해 통제되며, 프롤레타리아는 자신의 노동력을 부르주아에게 판매하고 그 대가인 임금을 받으며 생활한다. 마르크스는 과거의 사회 경제체제들이 그러했듯 자본주의 체제 역시 내부적 결함에 의해 내부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것이며 그 문제에 의해 자멸하고 사회주의 체제라는 새로운 체제로 대체될 것이라 예측했다. 자본주의는 이러한 불안정성을 내재하고 있기 때문에 계급적 대가가 발생하고, 노동자들이 계급의식을 가지게 된다. 의식화된 노동자들은 정치권력을 취하고 마침내 계급이 존재하지 않는 자유로운 생산자들의 연합체로 구성된 공산주의 사회를 이룩할 것이라는 마르크스주의다. 마르크스를 긍정적으로 보는 입장과 부정적으로 보는 임장 모두 마르크스가 인류사상 가장 영향력이 컸던 인물 중 하나임을 전제한다. 그의 경제학 저술은 오늘날의 노동과 자본의 관계에 대한 대부분의 기초를 놓았을 뿐만 아니라, 많은 학자, 예술가, 정당이 마르크스의 영향을 받았으며, 근대 사회학의 뼈대를 세운 인물로 여겨진다. 마르크스주의는 일반적으로 '공산주의'나'사회주의'와 같게 여기곤 하지만, 실제는 다르다. 마르크스주의는 오로지 사회사상만을 가리키는 게 아니라 마르크스의 이론 및 철학사상을 전반을 가리키는 말로 '마르크스주의는 공산주의다'라는 식으로 완전히 일치시키기는 어렵다. 19세가 중후반 마르크스주의의 지적 교리는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 두 명의 철학자들에서 사상의 영감을 받았다. 마르크스주의는 마르크스 경제학, 사회학, 정치적인 마르크스의 방법 및 사회 변화에 대한 혁명적 사회주의 관점을 수반한다.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단일 이론은 없으며, 마르크스주의적 분석은 다양한 주제에 적용되었다. 마르크스주의적 분석에 따르면, 자본주의 내의 계급 충돌은 프롤레타리아들의 사회화된 생산과 소수의 부르주아의 잉여 가치인 잉여 생산물의 사적 소유와 유용으로 격해지는 모순 때문에 일어난다. 프롤레타리아에게 모순이 명백해지면 두 계급사이에 사회적 불만이 심해지며, 사회 혁명으로 이르게 된다. 결국 이 개혁의 장기적인 결과는 사회주의의 확립이다. 카를 마르크스는 생산력과 기술이 계속 진보함에 따라 사회주의가 결국 사회 발달이라는 공산주의 단계에 무너지리라 가정했다. 공산주의는 계급과 국가는 사라지고 필요에 따른 개인으로의 원칙과 공동소유 위에 세워진 인간 사회가 될 것이다.

반응형

'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자  (0) 2023.01.21
아리스토텔레스  (0) 2023.01.21
플라톤  (0) 2023.01.20
철학자 소크라테스에 대하여  (0) 2023.01.20
인문학- 문예학/언어학/음악 사학에 대하여  (0) 2023.01.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