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사

고대 이집트

by 1RM 2023. 1. 22.
반응형

가장 오래된 문명은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수메르 문명이다. 기원전 3200년경부터 도시를 이루었으며, 설형문자를 사용하여 문서를 만들고 보관도 하였다. 메소포타미아 이외에도 고대 문명으로는 이집트, 페르시아 제국, 그리스, 아즈텍, 잉카 문명 등이 있다. 이외에도 전 세계적으로 고대문명이 존재한다. 한반도와 만주에는 고조선부터 삼국시대까지의 고대 국가들이 있었다. 
고대 이집트는 기원전 3100년경 처음으로 통일된 이집트가 되었다. 메네스가 제1왕조를 창시하면서 상이집트와 하이집트를 통일하였다. 이후 3000년간 고대 이집트는 독자적인 문명을 이루었으며 수많은 왕조가 세워지고 사라졌다. 고대 이집트 하면 상형문자와 거대한 피라미드 및 스핑크스를 떠올린다. 이집트의 왕조는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하고 도시별로 분열되어 약화되기도 하였다. 알렉산더 대왕에 의해 헬레니즘 문화로 편입될 때까지 나일강 유역부터 시리아에 이르기까지 그 영향력을 뻗쳤다. 
고대 이집트 문명은 나일강 유역에서 발원했다. 나일강 유역은 예로부터 축복받은 지역이라 불릴 정도로 토질이 비옥했다. 그래서 이미 약 백 만 년 전부터 구석기가 시작되었을 정도로 인류가 일찍 거주했다. 중석기와 신석기를 거치면서 거대 도시들과 성읍들이 생겨났고 정착과 농경 문화가 이루어지면서 빠르게 발전했다. 당시 이집트는 크게 나일강 상류 쪽의 상이집트, 하류 쪽의 하이집트로 나누어진 상황이었다. 하이집트는 제대로 개발된 곳이 아니었기에 갈대와 진흙이 가득했고 문명이나 발전을 봤을 때 상이집트가 훨씬 뛰어났다.
통일 왕조 전 상이집트, 하이집트 시대까지를 이집트 선왕조라 부른다. 상이집트 출신의 나르메가 하이집트를 정복하고 전 이집트를 통치하는 파라오로 즉위하면서 이집트 초기 왕조가 시작되었다. 기원전 2686년에 파라오 조세르가 등장하면서 이집트 고왕국이 열린다. 이 시기에 피라미드 건축의 황금기로 불렸으며, 세대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남아있다. 이후 많은 왕조가 생겨나고 사라졌다. 아흐모세 1세가 마침내 기원전 1550년경에 제 18왕조를 개창, 이집트를 재통일하면서 이집트 역사상 최고의 전성기인 이집트 신왕국이 시작된다. 이집트 신왕국은 이집트의 영광이나 부유함이 정점을 찍었던 시대였다. 
신왕국이 멸망하고 이집트는 역대급 혼란에 빠졌다. 연달아 등장하는 왕조, 잦은 패권 싸움, 도시들은 잘게 쪼개져 분열된 상태를 이르렀다. 
남쪽 쿠시왕국의 왕 피이피이가 분열된 이집트를 통합하고 흑인 왕조를 세웠다. 그러나 얼마 가지 않아 아시리아의 침공으로 아시리아의 봉신 왕조인 제26왕조가 들어서며 이집트 말기 왕조의 시대가 당도했다.
제26왕조는 태생부터 아시리아의 신하였기에 정당성이 부족했다. 그 때문에 이집트 곳곳에서 반란이 일어났고 제26왕조를 괴롭혔다. 나중에는 페르시아라는 강대국들과 맞서 싸웠고 결국에는 패배하여 페르시아의 제1차 점령기를 시작했다. 이후 계속해서 여러 왕조가 세워지고 페르시아 정복 11년만인 다리우스 3세 시대에 페르시아가 무너지고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이집트를 정복하면서 페르시아의 식민시대는 끝이 난다.
알렉사드로스 대왕은 젊은 나이에 요절했다. 이후 프톨레마이오스 1세가 이집트를 차지했고 이 왕조는 약 300년 정도 이집트를 통치했다. 
프톨레마이오스 1세, 2세, 3세는 경제를 발전시키며 전성기를 누릴 수 있었다. 그러나 프톨레마이오스 4세 때 부터 점차 국력이 약해지기 시작했고, 결국 로마 해군에 대패하며 멸망했다. 로마 제국의 속국이 되었으며, 이후 이집트에서는 파라오가 등장하지 않았다. 이로써 몇천 년의 이집트 역사도 끝이 났다.

반응형

'세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 그리스(2)  (0) 2023.01.24
고대 그리스(1)  (0) 2023.01.24
르네상스  (0) 2023.01.23
인더스 문명 그리고 황하 문명  (0) 2023.01.22
선사시대- 구석기/중석기/신석기/청동기/철기 시대  (0) 2023.01.21

댓글